[부스트코스] 변수의 정의와 자바의 데이터타입 정리
1. 변수
변수라는 단어는 수학을 배우면서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. 수학에서 변수란 값이 특정지어지지 않아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문자를 뜻한다.
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뜻도 유사하다.
계속 변하는 값이면서, 그 값을 저장하는 공간을 변수라고 한다. 컴퓨터가 자료를 담아 두기 위해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다.
1.1 사용법
자바에서 변수를 만들 때는 데이터타입을 먼저 선언한다.
int
정수 데이터 타입을 표현
int a = 10;
위 코드는 데이터타입이 정수인 a라는 변수에 10의 값을 넣은 것이다.
double
실수 데이터타입을 표현
double b = 3.2;
위 코드는 데이터타입이 실수인 b라는 변수에 3.2의 값을 넣은 것이다.
데이터 타입을 double로 설정했기 때문에 정수인 3을 넣으면 3.0이 출력된다.
String
문자열 데이터타입을 표현
String c = "water";
위 코드는 데이터타입이 문자열인 c라는 변수에 water의 값을 넣은 것이다.
1.2 정수형
자료형은 위에 언급한 것보다 더 다양하다.
정수형의 경우 int와 long이 있다. (byte, short도 있지만 많이 사용되지 않음)
정수형의 디폴트는 int다. (아무것도 쓰지않으면 int로 잡음)
자료형 | 표현범위 |
int | -2147483648 ~ 2147483647 |
long | -9223372036854775808 ~ 9223372036854775807 |
long 자료형을 쓸 경우
long AB = 9223372036854775701L;
위 코드처럼 마지막에 알파벳 L 을 넣어주어야 한다.
1.3 실수형
실수형의 경우에도 float과 double 형이 존재한다.
실수형의 디폴트는 double다. (아무것도 쓰지 않으면 double로 잡음)
자료형 | 표현범위 |
float | 1.40239846e-45f ~3.40282347e+38f |
double | 4.94065645841246544e-324~1.79769313486231570e+308 |
float 자료형을 쓸 경우
float pi = 3.14f;
위 코드처럼 마지막에 알파벳 f 를 넣어주어야 한다. (디폴트가 double이기 때문에)
이번 글에서는 자바의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
다음 글에서는 쉽게 배우는 자바 강의를 정리하여 형 변환에 대해 정리할 예정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