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데이터 타입 변환
1.1 double형을 int형으로 변환
double a = 1.1;
만약 이미 지정한 double형의 1.1이 있는데, 그 변수를 정수형으로 출력하고 싶다면 형 변환을 해야 한다.
double a = 1.1;
int b = 1.1;
System.out.println(b);
위 코드는 컴파일 에러가 뜬다. 1.1은 정수형이 아니기 때문이다.
double a = 1.1;
int b = (int) 1.1;
System.out.println(b);
(int)를 넣은 해당 코드로 수정하면 오류가 뜨지 않고 int형인 1이 출력된다.
이렇듯 double -> int 형으로의 변환은 형 변환을 표현해주어야 한다.
하지만 그 반대인 int -> double 형은 손실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따로 데이터 타입 변환이 없어도 자동으로 변환이 된다. (ex. double c = 1; 일 경우 자동으로 1.0으로 출력됨)
1.2 int형을 String형으로 변환
정수형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고 싶을 때도 형 변환을 명시해야 한다.
String AAA = Integer.toString(611);
System.out.println(AAA);
Integer.toString(숫자)를 넣으면 정수형의 숫자가 문자열 형태로 변환이 된다.
출력되는 결과는 611이지만 형태는 String이다.
변수가 어떤 데이터 타입을 갖고 있는지 알고 싶다면
String AAA = Integer.toString(611);
System.out.println(AAA.getClass());
.getClass()를 덧붙이면 된다.
그럼 위의 사진과 같이 String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반응형
'공부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스트코스] java popup input text, JOptionPane (0) | 2021.01.19 |
---|---|
[부스트코스] eclipse를 통한 java 디버깅 방법 (0) | 2021.01.16 |
[부스트코스] 변수의 정의와 자바의 데이터타입 정리 (0) | 2021.01.14 |
[부스트코스] 데이터 타입, floor, ceil 함수, 줄바꿈 문자 (0) | 2021.01.12 |
[부스트코스] eclipse 설치부터 java로 Hello World까지 (0) | 2021.0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