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/Java

    [부스트코스] 클래스 상속관계를 확인하는 법

    클래스는 계층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. 상속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클립스에서 계층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는 클래스에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고 Open Type Hierarchy를 선택하면 상속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. 상단 사진의 경우 PrintWriter의 상속관계가 나타날 것이다. Type Hierarchy를 더블클릭하면 좀 더 보기 편하게 창이 커진다. 상단 사진은 PrintWriter 클래스가 Writer 클래스에서 상속되었고, Writer 클래스는 Object 클래스에서 상속된 것임을 알 수 있다. 자식 클래스(하위)는 부모 클래스(상위)에 있는 모든 변수와 매소드를 사용할 수 있다. 덮어 쓰인다고 볼 수 있다. 상속관계는 하단 사이트 상단 Tree 메뉴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...

    [부스트코스] Java 인스턴스 생성하기

    인스턴스는 객체를 다양한 상태에서 사용하고, 기능을 재사용할 경우가 많은 상황에서 유용한 방식이다. PrintWriter를 사용하기 위해 패키지를 가져오는 작업을 한다. import java.io.PrintWriter; 최상단에 위와 같은 코드를 쓴다. 예외처리를 위한 Add throws declaration IOException 선택 PrintWriter p1 = new PrintWriter("result1.txt"); p1.write("Hello 1"); p1.close(); PrintWriter p2 = new PrintWriter("result2.txt"); p2.write("Hello 2"); p2.close(); PrintWriter를 쓸 때, new를 통해서 p1이라는 인스턴스를 만든다. 그..

    [부스트코스] eclipse에서 class 파일 경로 확인하기

    1. Navigator에서 경로를 알 파일을 오른쪽클릭 한 뒤 Properties를 누른다. 2. 나오는 창에서 Location이 저장된 경로임을 알 수 있다. 경로 옆의 버튼인 Show In System Explorer를 누르면 파일 경로가 있는 폴더 창이 바로 뜨며 직관적으로 파일 경로를 알 수 있다.

    [부스트코스] Argument를 통해 입력값을 받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방법

    1. Argument를 통해 입력값을 받아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방법에 대한 정리 args를 통해 입력값을 받을 수 있다. 1.1 Run버튼의 아래 목록 중 Run Configurations을 들어간다. 1.2 Arguments탭의 Program arguments에 값을 입력한다. String 값은 " "로 이어줘야하고, 숫자는 별다른 기호없이 입력하면 된다. 상단의 Name: 에 입력한 값을 넣어주면 알아보기 편리하다. 입력 후 Apply를 클릭하면 왼쪽에 추가가 된다. 1.3 코드로 돌아와서 원래 값을 넣었던 부분을 위와 같이 수정한다. args는 문자열 배열로, 0부터 카운트한다. 즉 아까 Program arguments에서 첫 번째로 넣은 값인 Ab APT 42가 args[0]가 된다.

    [부스트코스] java popup input text, JOptionPane

    다이어로그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입력 값을 받는 방법에 대한 정리 1. JOptionPane 위 사진처럼 팝업창을 통해 변수 id를 사용자에게 입력 받아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마다 다른 값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. JOptionPane 객체의 showInputDialog 매소드를 이용하면 된다. 1.1 import import javax.swing.JOptionPane; 사용하기 전 import 구문으로 JOptionPane을 불러온다. 1.2 String id = JOptionPane.showInputDialog("Enter a ID"); 해당 매소드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는 String형으로 받아진다. 1.3 데이터 타입 변환 만약 double데이터 값으로 입력을 받아야될 경우 데이터 타입 변환을 ..

    [부스트코스] eclipse를 통한 java 디버깅 방법

    1. 디버그 1.1 디버그란 디버그(debug)는 프로그램의 오류를 벌레에 비유하여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일이라는 의미로 쓰인다. 그 오류를 수정하는 일을 디버깅한다고 말하며, 오류수정 소프트웨어를 가리킬 때는 디버거라는 말을 쓴다. eclipse를 통해서 디버깅을 할 수 있다. 1.2 디버그 메뉴 이클립스 상단 메뉴바에 해당 벌레 아이콘이 있다. 아이콘을 누른 후 Switch 버튼을 클릭하면 디버그를 할 수 있도록 화면전환이 된다. 1.3 브레이크 포인트 설정 코드 창에서 해당 부분까지 디버거가 실행 됐으면 좋겠는 부분을 더블클릭하면 위 사진과 같이 브레이크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. 이 상태에서 디버거를 실행하면 저 16번째 줄까지 실행이 되고 일시정지된다. 1.4 Resume 실행은 상단 Resum..

    [부스트코스] 자바의 데이터타입 형변환 방법

    1. 데이터 타입 변환 1.1 double형을 int형으로 변환 double a = 1.1; 만약 이미 지정한 double형의 1.1이 있는데, 그 변수를 정수형으로 출력하고 싶다면 형 변환을 해야 한다. double a = 1.1; int b = 1.1; System.out.println(b); 위 코드는 컴파일 에러가 뜬다. 1.1은 정수형이 아니기 때문이다. double a = 1.1; int b = (int) 1.1; System.out.println(b); (int)를 넣은 해당 코드로 수정하면 오류가 뜨지 않고 int형인 1이 출력된다. 이렇듯 double -> int 형으로의 변환은 형 변환을 표현해주어야 한다. 하지만 그 반대인 int -> double 형은 손실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따..

    [부스트코스] 변수의 정의와 자바의 데이터타입 정리

    1. 변수 변수라는 단어는 수학을 배우면서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. 수학에서 변수란 값이 특정지어지지 않아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문자를 뜻한다.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변수의 뜻도 유사하다. 계속 변하는 값이면서, 그 값을 저장하는 공간을 변수라고 한다. 컴퓨터가 자료를 담아 두기 위해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다. 1.1 사용법 자바에서 변수를 만들 때는 데이터타입을 먼저 선언한다. int 정수 데이터 타입을 표현 int a = 10; 위 코드는 데이터타입이 정수인 a라는 변수에 10의 값을 넣은 것이다. double 실수 데이터타입을 표현 double b = 3.2; 위 코드는 데이터타입이 실수인 b라는 변수에 3.2의 값을 넣은 것이다. 데이터 타입을 double로 설정했기 때문에 정수인 3을 넣으..